재테크 & 개인 금융

🔄 [청년 주거 현실 시리즈 #5] 전세 2년 후 이사하면 대출은 어떻게 될까?

무튼로그 2025. 3. 25. 17:01
반응형

 

“전세대출을 받았는데, 2년 뒤 이사를 해야 한다면? 기존 대출은 어떻게 처리할까?”


📌 결론부터 말하자면: 대출 ‘이전’ 가능합니다

청년전세대출을 포함한 대부분의 전세자금대출은 다른 전셋집으로 이사할 때 ‘대환 대출’ 방식으로 이전이 가능합니다.

  • 👉 기존 대출 = 종료
  • 👉 새 집 계약 = 새로운 대출로 연결
  • 👉 보증금 받는 동시에 은행이 새 집에 지급

---

📑 대환 대출 vs 연장 대출 차이

구분 대출 연장 대환 대출
조건 같은 집에서 거주 지속 새 집으로 이사할 경우
계약 방식 기존 계약 갱신 새 임대차계약 체결
절차 간단, 서류만 제출 신규 심사 + 이전 절차 필요
보증보험 기존 유지 가능 새 보증보험 재가입 필요

---

 

🏠 전세 이사 시 대환 대출 절차

  1. 📄 새 집 임대차 계약 체결
  2. 📂 기존 집 계약 종료 → 보증금 반환일 확정
  3. 🏦 은행 방문 → 대환 대출 신청
  4. 📎 등기부등본 / 보증보험 가입 / 인감서류 제출
  5. 💸 새 집주인에게 대출금 직접 송금 (은행 → 집주인)

💡 이때 주의할 점은 기존 집의 보증금을 새 집 계약금으로 연결해야 하기 때문에, 일정 조율이 매우 중요합니다.

---

📆 실제 가능한 일정 예시

날짜 내용
5월 1일 새 집 계약 체결
5월 10일 기존 집 계약 종료일 확정
5월 15일 보증금 반환 + 대환 대출 실행
5월 20일 새 집 입주

→ 실무에서는 이사 하루 전 또는 당일에 대환 대출금이 집주인에게 바로 지급됩니다.

---

🛡️ 주의해야 할 점

  • ✅ 전세보증보험은 새 집에 맞게 새로 가입해야 함
  • ❗ 등기부등본 상 하자(근저당 등) 없는 집으로만 대환 가능
  • 💳 소득, 신용 조건 변화 시 심사 영향 받을 수 있음
  • 📞 이사일 전후, 은행과 계속 일정 확인 필수

---

📎 한눈에 보는 전세 이사 체크리스트

  • ✅ 새 집 보증금 → 전세보증보험 가입 가능 여부 확인
  • ✅ 기존 집 계약해지일, 새 집 입주일 간격 조율
  • ✅ 대출 신청 시 필요한 서류 미리 준비
  • ✅ 보증보험 승인 여부 사전 문의

---

📌 결론: 이사해도 대출은 '이어갈 수 있습니다'

청년전세대출을 받았더라도, 이사한다고 해서 혜택이 끝나는 게 아닙니다.

“대환 대출”이라는 제도를 활용하면 기존 대출을 끊지 않고 이어갈 수 있어요.

다만, 절차가 새로 시작되는 만큼 준비는 철저하게. ✅ 일정 조율 ✅ 서류 준비 ✅ 보증보험 가입 이 3가지만 지키면 무리 없이 전세이사 가능합니다.

---

 

📚 청년 주거 현실 시리즈 전체 보기

월세부터 전세까지, 청년의 주거 고민을 함께 정리해갑니다.

 

※ 본 글에는 쿠팡파트너스 및 애드센스 광고가 포함되어 있으며, 링크 클릭 시 소정의 수수료를 제공받을 수 있습니다.

728x90
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