재테크 & 개인 금융
🔄 [청년 주거 현실 시리즈 #5] 전세 2년 후 이사하면 대출은 어떻게 될까?
무튼로그
2025. 3. 25. 17:01
반응형
“전세대출을 받았는데, 2년 뒤 이사를 해야 한다면? 기존 대출은 어떻게 처리할까?”
📌 결론부터 말하자면: 대출 ‘이전’ 가능합니다
청년전세대출을 포함한 대부분의 전세자금대출은 다른 전셋집으로 이사할 때 ‘대환 대출’ 방식으로 이전이 가능합니다.
- 👉 기존 대출 = 종료
- 👉 새 집 계약 = 새로운 대출로 연결
- 👉 보증금 받는 동시에 은행이 새 집에 지급
---
📑 대환 대출 vs 연장 대출 차이
구분 | 대출 연장 | 대환 대출 |
---|---|---|
조건 | 같은 집에서 거주 지속 | 새 집으로 이사할 경우 |
계약 방식 | 기존 계약 갱신 | 새 임대차계약 체결 |
절차 | 간단, 서류만 제출 | 신규 심사 + 이전 절차 필요 |
보증보험 | 기존 유지 가능 | 새 보증보험 재가입 필요 |
---
🏠 전세 이사 시 대환 대출 절차
- 📄 새 집 임대차 계약 체결
- 📂 기존 집 계약 종료 → 보증금 반환일 확정
- 🏦 은행 방문 → 대환 대출 신청
- 📎 등기부등본 / 보증보험 가입 / 인감서류 제출
- 💸 새 집주인에게 대출금 직접 송금 (은행 → 집주인)
💡 이때 주의할 점은 기존 집의 보증금을 새 집 계약금으로 연결해야 하기 때문에, 일정 조율이 매우 중요합니다.
---
📆 실제 가능한 일정 예시
날짜 | 내용 |
---|---|
5월 1일 | 새 집 계약 체결 |
5월 10일 | 기존 집 계약 종료일 확정 |
5월 15일 | 보증금 반환 + 대환 대출 실행 |
5월 20일 | 새 집 입주 |
→ 실무에서는 이사 하루 전 또는 당일에 대환 대출금이 집주인에게 바로 지급됩니다.
---
🛡️ 주의해야 할 점
- ✅ 전세보증보험은 새 집에 맞게 새로 가입해야 함
- ❗ 등기부등본 상 하자(근저당 등) 없는 집으로만 대환 가능
- 💳 소득, 신용 조건 변화 시 심사 영향 받을 수 있음
- 📞 이사일 전후, 은행과 계속 일정 확인 필수
---
📎 한눈에 보는 전세 이사 체크리스트
- ✅ 새 집 보증금 → 전세보증보험 가입 가능 여부 확인
- ✅ 기존 집 계약해지일, 새 집 입주일 간격 조율
- ✅ 대출 신청 시 필요한 서류 미리 준비
- ✅ 보증보험 승인 여부 사전 문의
---
📌 결론: 이사해도 대출은 '이어갈 수 있습니다'
청년전세대출을 받았더라도, 이사한다고 해서 혜택이 끝나는 게 아닙니다.
“대환 대출”이라는 제도를 활용하면 기존 대출을 끊지 않고 이어갈 수 있어요.
다만, 절차가 새로 시작되는 만큼 준비는 철저하게. ✅ 일정 조율 ✅ 서류 준비 ✅ 보증보험 가입 이 3가지만 지키면 무리 없이 전세이사 가능합니다.
---
📚 청년 주거 현실 시리즈 전체 보기
월세부터 전세까지, 청년의 주거 고민을 함께 정리해갑니다.
- 💸 [청년 주거 현실 시리즈 #1] 월세 200/35부터 시작한 나, 전세가 답일까?
- 🏡 [청년 주거 현실 시리즈 #2] 전세 vs 반전세, 집주인은 왜 선택할까?
- 🧾 [청년 주거 현실 시리즈 #3] 전세보증보험, 진짜 나를 지켜줄까?
- 💰 [청년 주거 현실 시리즈 #4] 청년전세대출, 결혼하고도 계속 쓸 수 있을까?
- 🔄 [청년 주거 현실 시리즈 #5] 전세 2년 후 이사하면 대출은 어떻게 될까?
- 📈 [청년 주거 현실 시리즈 #6] 경력 오르면 소득도 오르는데, 청년 대출은 계속 받을 수 있어?
- 👩❤️👨 [청년 주거 현실 시리즈 #7] 결혼은 안 했지만, 동거하면 대출에 문제 생길까?
※ 본 글에는 쿠팡파트너스 및 애드센스 광고가 포함되어 있으며, 링크 클릭 시 소정의 수수료를 제공받을 수 있습니다.
728x90
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