재테크 & 개인 금융

👉 연금저축 vs ISA vs IRP, 나에게 맞는 절세통장은? 💰

무튼로그 2025. 3. 22. 21:18
반응형

🧾 연금저축 vs ISA vs IRP, 뭐가 다른데?

— 절세 3대장 비교! 지금 나에게 필요한 계좌는?

📦 계좌 성격 먼저 간단 정리

구분 연금저축 ISA IRP
성격 노후 대비용 연금 계좌 절세 통합 계좌 퇴직금 연계된 연금 계좌
가입 대상 누구나 누구나 직장인 / 개인사업자
상품 구성 펀드, ETF, 예금 등 펀드, ETF, 예금 등 펀드, ETF, 예금 등
세금 혜택 최대 16.5% 세액공제 400만 원 비과세 + 9.9% 분리과세 최대 16.5% 세액공제
인출 조건 만 55세 이후 언제든 가능 만 55세 이후
중도 인출 가능 (공제 환급분 토해냄) 가능 (자유롭게) 가능 (세금 부담 발생)

💰 세금 혜택 중심으로 보면?

  • ISA: 수익 400만 원까지 비과세, 초과분은 9.9% 저율 분리과세
  • 연금저축/IRP: 연말정산 환급 가능, 최대 16.5% 세액공제

💬 상황별 추천 계좌는?

  • 📌 절세 + 투자 입문자 → ISA
  • 📌 연말정산 환급 원하면 → 연금저축 + IRP
  • 📌 퇴직금 굴리기 + 추가 공제 → IRP

🧾 추천 개설 순서

  1. ISA (자유로운 비과세 투자)
  2. 연금저축 (연말정산 세액공제)
  3. IRP (퇴직금 + 추가 절세용)

📋 계좌별 추천 개설처

  • ISA: 키움, NH, 미래에셋 등 증권사 (중개형 추천)
  • 연금저축: 증권사 or 보험사 (ETF 가능한 증권사 추천)
  • IRP: 증권사 or 은행 (투자 비중 고려 시 증권사 유리)

✅ 최종 요약 비교표

항목 ISA 연금저축 IRP
계좌 목적 절세 + 투자 노후 대비 + 공제 퇴직금 + 공제
세제 혜택 400만 비과세, 초과 9.9% 최대 16.5% 세액공제 최대 16.5% 세액공제
인출 조건 언제든 자유 55세 이후 연금 수령 55세 이후 연금 수령
추천 대상 사회초년생, 투자 입문자 직장인, 프리랜서 퇴직금 굴릴 사람, 고소득자

💬 마무리하며

✔️ ISA, 연금저축, IRP는 모두 절세를 위한 전략 계좌입니다.
✔️ 하나만 고르는 게 아니라, 상황에 따라 순서대로 만드는 게 핵심!

👉 오늘부터 하나씩 알아보고, 내게 맞는 계좌부터 시작해보세요 😊


💬 여러분의 선택은?

ISA부터 시작하셨나요? 연금저축이 먼저였나요?
댓글로 나만의 전략을 공유해 주세요! 다음 글은 “ISA에서 ETF 투자하는 방법”으로 돌아올게요 🎯

728x90
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