반응형
소형 주거 공간, 이제는 콘텐츠 중심으로 설계되는 시대
💬 한눈에 요약
- ✔️ 콘텐츠 소비가 공간 구조를 바꾸고 있다
- ✔️ ‘TV 중심’이 아니라 ‘스크린 중심’ 시대
- ✔️ 침실과 거실의 경계가 흐려지고 있음
- ✔️ 자취방 설계 시 콘텐츠 중심 구조 고려할 타이밍
🎥 콘텐츠가 거실을 재편하다
예전엔 거실 한가운데 TV를 두고 쇼파를 둔 구조가 당연했어요. 하지만 요즘 1~2인 가구는 어떨까요?
TV가 아닌 노트북, 빔프로젝터, 태블릿이 중심이 된 공간에서 거실이라는 개념 자체가 바뀌고 있어요.
🪑 요즘 자취방, 가구 배치가 달라졌다
- 📺 TV가 없는 집, 점점 늘어나는 중
- 🛏️ 침대가 거실이 되고, 소파가 침대가 됨
- 🎮 게임과 영화 중심의 가구 배치 구조
🔦 콘텐츠 공간 설계를 위한 포인트 4가지
요소 | 설명 | 팁 |
---|---|---|
스크린 벽면 | TV or 빔프로젝터가 들어갈 메인 공간 | 창문 없는 벽이 최적, 화이트 도장 추천 |
조명 | 눈부심 없는 간접등 중심 | 바닥등, 벽등 활용 + 천장등 최소화 |
소리 | 벽이 얇을 경우 방음/흡음 고려 | 커튼, 러그, 패브릭 가구 활용 |
가구 배치 | 스크린을 중심으로 배치 재구성 | 침대or소파가 중심, 사이드 테이블만 |
🧭 설계자 관점에서 본 ‘거실 없는 시대’
요즘은 “거실에서 뭐 하세요?”라는 질문보다 “스크린은 어디 있나요?”라는 질문이 더 현실적이에요.
소형 평면도에서는 거실보다 스크린 벽 위치가 공간의 성격을 결정합니다. 따라서 설계할 때도 단순한 기능 배치가 아닌, ‘콘텐츠 중심 라이프스타일’을 위한 동선을 먼저 고려해야 합니다.
📝 마무리하며
‘내 방’은 이제 ‘작은 시네마’이자 ‘작업실’, ‘수면 공간’, ‘취향의 상징’입니다.
설계자는 거실보다 스크린의 위치, 조도의 방향, 벽의 색을 먼저 그리게 되었어요. 📺 **넷플릭스가 바꾼 건 영상 콘텐츠만이 아니라, 공간 그 자체일지도 모릅니다.**
🗺️ 다음 글 예고
- 👉 “프로젝터를 위한 방, 어떻게 설계할까?”
- 👉 “TV 없이 사는 자취방, 공간이 더 넓어진다”
728x90
반응형
'건축, 인테리어 이야기' 카테고리의 다른 글
🍀로또는 왜 그 동네에서만 터질까? 공간이 운을 만든다 (0) | 2025.03.23 |
---|---|
🌍하라리의 인간 3만 년, 그 공간은 누가 설계했을까? (0) | 2025.03.23 |
🧠 이세돌이 돌아온 날, 나는 평면도를 다시 보았다 (0) | 2025.03.23 |
🏷️ 산불 많은 시대, 집은 어디에 어떻게 지어야 할까? (1) | 2025.03.23 |
🏷️ "원룸? 투룸? 미니투룸? 건축하는 사람이 기준부터 정리해드립니다" (2) | 2025.03.23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