📚건축으로 이해하는 '트랜스모더니즘(Transmodernism)'
트랜스모더니즘(Transmodernism)은 모더니즘과 포스트모더니즘을 넘어선 새로운 시대적 흐름으로, 건축 분야에서는 두 사조의 장점을 결합하여 '통합과 다양성', '지속 가능한 디자인'을 강조합니다.
📌 모더니즘 vs 포스트모더니즘 vs 트랜스모더니즘
구분모더니즘포스트모더니즘트랜스모더니즘
시대 | 1900~1950년대 | 1960~1990년대 | 1990년대 이후~현재 |
디자인 특징 | 기능성, 합리성 중시, 단순하고 절제된 디자인 | 다양성, 상대성, 장식적 요소 강조 | 환경과 조화, 지속가능성, 다양성과 통합 |
사고방식 | 절대적, 획일적 | 상대적, 탈중심적 | 통합적, 포용적, 다원적 |
대표적 건축가 | 르 코르뷔지에, 미스 반 데어 로에 | 로버트 벤투리, 프랭크 게리 | 안도 다다오, 피터 줌터, 렌조 피아노 |
🏗️ 트랜스모더니즘 건축의 특징
- 환경과 지속가능성 강조 🌿
- 자연친화적 설계, 에너지 효율성, 재생 가능한 자재 활용
- 지역성과 글로벌 감성의 통합 🌎
- 지역 고유의 문화를 현대적인 디자인으로 재해석하여 균형 잡힌 표현 추구
- 탈중심적이며 다원적 접근 🌐
- 서구 중심적 관점을 벗어나 다양한 문화의 건축적 특성을 존중하며 설계
🌟 트랜스모던 건축 대표 건축가와 구체적 사례
① 안도 다다오 (Tadao Ando)
안도 다다오는 모더니즘의 상징인 노출 콘크리트로 절제된 아름다움을 추구하면서도 자연 요소(빛, 바람, 물 등)를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인간과 환경의 조화를 이루는 트랜스모던적 가치를 구현합니다.
- 대표작: 빛의 교회(Church of the Light), 물의 교회(Church on the Water)
② 피터 줌터 (Peter Zumthor)
피터 줌터는 지역성과 장소성을 강조하면서도 재료 본연의 특성과 촉각적 경험을 중요시합니다. 그의 작품은 자연과 건축이 하나가 되어 감각적인 체험을 극대화합니다.
- 대표작: 테르메 발스(Therme Vals, 스위스)
③ 렌조 피아노 (Renzo Piano)
렌조 피아노는 지속가능한 건축을 추구하며 지역 문화와 글로벌 감성을 결합한 친환경적 디자인을 실천합니다. 생태적인 건축 기술과 현대적인 미학이 조화를 이루도록 설계합니다.
- 대표작: 퐁피두 센터(Pompidou Centre, 프랑스), 캘리포니아 아카데미 오브 사이언스(미국)
🇰🇷 한국에서의 트랜스모더니즘 건축
한국에서는 전통과 현대를 아우르는 통합적 디자인, 자연과의 조화, 지속가능성을 중시하는 트랜스모더니즘적 건축이 주목받고 있습니다. 특히, 전통 한옥과 현대적 요소를 조화롭게 결합하거나 자연과 건축이 함께 공존하는 형태로 나타납니다.
📌 대표 건축가와 작품
① 승효상
- 한국 건축의 맥락과 현대성을 결합한 건축 철학을 추구하며, 인간과 자연이 어우러진 지속 가능한 건축을 실현합니다.
- 대표작: 수졸당(修拙堂), 웰콤시티
② 조병수
- 자연과 소통하는 건축을 지향하며, 전통과 현대가 만나는 섬세한 디자인을 실천합니다.
- 대표작: 수백당(守白堂), 땅집
🌿 트랜스모더니즘의 건축적 의의
트랜스모더니즘은 현대 건축이 지향해야 할 방향성을 제시합니다. 기존 모더니즘의 한계인 획일성과 포스트모더니즘의 한계인 과도한 상대주의를 넘어, 환경과 문화적 맥락을 동시에 고려하는 균형 잡힌 통합을 목표로 합니다.
앞으로 트랜스모더니즘은 건축에서 더욱 인간적이며 지속 가능한 발전을 이루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입니다. 건축을 통해 환경과 인간, 문화가 모두 공존하는 조화로운 미래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.
'자기계발 & 심리학' 카테고리의 다른 글
📐 건축학과에서 진짜 중요한 건 뭘까? 결국 끝까지 가는 사람의 비밀 (12) | 2025.04.05 |
---|---|
📐‘물경력’은 낙인이 아니라, 내가 다시 설계하는 시간이었다. (0) | 2025.03.23 |